본문 바로가기
영문학

모더니즘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 암흑의 심장

by Amy_kim 2023. 1. 14.
반응형

조지프 콘래드(Joseph Conrad)는 20세기 영문학에서 빠뜨릴 수 없는 작가이다. 그의 두드러진 작품 특성은 양가성이다. 폴란드 출신인 그의 작품이 인상주의적 모더니즘 문학으로 평가받게 된 이유를 알아본다.

폴란드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글을 쓴 작가

그는 1890년대부터 작품을 쓰기 시작했다. 영국 최초의 모더니스트 작가라고도 할 수 있다. 20세기 위대한 영국 작가들이 모두 영국 출신의 영국인이 아닌 경우가 많지만, 폴란드 출신의 뱃사람이던 그가 30대 후반에 영어로 소설을 쓰는 작가가 되었다는 것은 특기할만한 사실이다. 그는 20대가 되어서야 영어를 배웠다고 한다. 콘래드는 당시 유럽의 지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폴란드, 즉 러시아령 폴란드에서 태어났다(현재 우크라이나 지역). 아버지 아폴로는 러시아의 통치에 저항하는 정치적 혁명가이자 시인이자 프랑스와 영국 문학의 번역가였다. 그는 어린 콘래드에게 영국 문화와 문학을 소개하는 역할을 해주었다. 콘래드가 다섯 살 때 아버지가 가담한 혁명의 실패로 전 가족이 러시아 북부로 유배되었다. 그 후 2년 만에 어머니가 병으로 죽고 5년 후에는 아버지마저 사망했다. 콘래드는 외삼촌 보브로브스키의 보호 아래 스위스에서 교육을 받았다. 외삼촌 역시 문학에 조예가 싶은 폴란드의 애국자였다. 하지만 아버지의 정치성향에 대해서는 늘 경계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콘래드가 폴란드를 떠난 후 주고받은 편지에서 잘 나타나있다. 콘래드 가문이 속한 전통적 낭만주의적 성향과 외삼촌의 현실주의적 입장 사이의 갈등은 콘래드 작품의 두드러진 특성인 양가성의 한 근거가 된다. 학업에 큰 뜻이 없었던 그는 열여섯 살에 마르세이유로 떠나 프랑스 상선을 탄다. 그는 20년에 걸친 바다에서의 새로운 삶을 시작했으며, 1886년에 영국 국적을 취득하였다. 1894년 외삼촌 보브로브스키가 죽자 영국에 정착하여 작가로서의 삶을 시작하였다.

콘래드가 작가의 길로 들어서게 된 계기가 있다. 1880년대 그가 잠시 선원으로 일했던 지역에서 그곳의 유일한 백인 올마이어를 만난 것이다. 그는 올마이어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면 아마 자신의 글은 이 세상에 단 한 줄도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고도 얘기한다. 콘래드에게 영어는 세 번째 언어였다. 그의 작품은 영국인 화자의 영국적 시각에서의 서사 전개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영국 소설과는 다른 이질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원래 영어로 쓰였다기보다는 영어로 번역된 듯한 문장의 특성 때문이다. 이런 특성이 독자로 하여금 지금껏 알고 있던 세상이 뭔지 모르게 낯설게 느껴지게 한다는 점을 가진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영국 최초의 모더니즘 소설이라고 볼 수 있다.

 

콩고를 배경으로 쓰인 암흑의 심장

당시 콩고자유국은 벨기에의 왕 레오폴드 2세의 개인 소유였다. 여기에서의 경험은 그동안 유럽 강대국의 제국건설에 실제적으로 보조역할을 해왔던 콘래드에게 하나의 전환점이 된 사건이었다. 콘래드를 작가로 발굴하는데 기여한 에드워드 가넷은 그를 이렇게 표현했다. 콘래드는 콩고를 방문하기 전 선원으로서는 아무 생각이 없는 완벽한 동물이었다. 콩고의 사악한 음성이 그의 젊은 시절의 환상을 앗아가고, 거대한 암흑의 심장을 응시하게 했다는 것이다. 콘래드는 보르네오의 백인 올마이어의 환상에 강렬한 인상을 안고 있었다. 그런 그에게 유럽제국이 아프리카에서 저지르고 있는 참상의 목격은 식민지 폴란드의 고통을 상기시킨 촉매제가 되었다. 동유럽 제국인 러시아의 손아귀에 있는 폴란드의 이미지는 식민지 콩고의 이미지와 중첩되었다. 한편 서구의 상징적 존재로서 올마이어의 이미지와도 연결된다. 자신이 폴란드인이라는 사실과 서구 전통을 가진 피식민지로서 폴란드의 모순에 대한 자각이 그를 작가로 탄생시켰다고 할 수 있다. 콘래드가 영어로 글을 쓰게 된 것도 서구문명을 추구하는 폴란드의 전통에 따라 당시 서구의 강력한 대변자로 군림하던 영국을 신뢰한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콘래드의 작품세계가 불확실성과 양가성으로 특징지어지는 것은 영국적 가치에 대한 작가의 믿음이 이상주의적 폴란드의 전통에 의거하고 있다. 

암흑의 심장은 콘래드의 양가성을 가장 극명하게 드러내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그가 더 이상 동남아시아를 배경으로 한 가벼운 해양모험소설 작가로 간주될 수 없음을 입증한다. 암흑의 심장은 콘래드가 작가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한 작품이자 그의 정치소설의 하나로 손꼽힌다. 이 작품은 자기 발견으로서의 모험담 혹은 내적 자아탐구의 여정이라는 원형적인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소설의 서두에서 템즈 강에 떠 있는 넬리호 선상에서 말로우의 이야기를 듣고 있는 네 명의 인물이 있다. 이들은 무역회사의 관리자, 변호사, 회계사, 그리고 화자이다. 이 인물들은 이 잡지의 주된 독자층을 대변하는데, 이것은 콘래드가 식민지 사업과 연관된 영국 중산층의 반응을 의식하면서 작품을 썼다는 것을 의미한다. 암흑의 심장은 유럽 제국의 식민지 경쟁이 최고조에 달한 19세기 후반의 아프리카 콩고를 배경으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문학사적 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인상주의적 모더니즘

동구 제국의 식민지배하에 있는 서구 문화권 폴란드 출신이라는 콘래드의 입장은 그를 모더니즘 문학의 선구자로 만들었다. 모더니즘 문학은 일상 세계에 대한 불확실성과 이질감을 특성으로 한다. 그와 함께 대표적인 모더니스트 작가로 꼽히는 작가로 제임스 조이스와 버지니아 울프, D. H. 로렌스가 있다. 이들의 작품은 공통적으로 현실에 대한 불안과 화의를 주제로 한다. 이는 이 작가들이 식민지 출신이거나 여성 혹은 노동자 계층 출신으로 영국의 기존 사회질서의 억압적인 상황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었다는 사실과 관계가 있다. 

콘래드는 모더니즘 문학의 특징인 의식의 흐름이나 서술자와 화자를 구분하는 액자구조의 서사 기법을 활용한다. 또한 당시 유행한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아 이미지 묘사를 중시하였다. 인상주의 기법은 세부적인 이미지의 축적을 통해 전체적인 의미를 이해하도록 한다. 화자가 확실히 이해하지 못한 경험에 대해 독자가 스스로 그 의미를 깨우칠 수 있도록 인상 혹은 이미지를 통해 그 경험을 묘사하는 것이다. 서구 문화라는 이상을 추구해 온 콘래드는 서구의 식민지에서 목격한 잔혹한 상황에 대해 받은 인상을 통해 진실을 전달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것이 그의 작품을 인상주의적 모더니즘 문학으로 평가받게 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