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오늘날 셰익스피어를 읽고 보는가
셰익스피어는 영국 문학을 넘어 영어권 문화의 중심적인 인물이다. 때문에 영국의 문학과 사회를 이해하려 한다면 그의 희곡을 알아야 한다. 셰익스피어에 대한 이해는 그의 희곡들과 그 안의 언어에만 해당하는 게 아니다. 영어권 문화에 해당하는 전반적인 사상, 가치 등을 아는 데에도 필수적이다. 물론 셰익스피어가 이런 사상과 이야기를 처음 만들어 냈다는 것은 아니다. 비평가 캐서린 벨시는 이렇게 얘기한다. "셰익스피어의 희곡이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동화와 전통적 이야기의 여러 요소들을 채택하여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오래되고 매력적인 이야기의 효과를 심화한다."
셰익스피어 희곡은 영어권 문화의 형성에 일정한 역할을 한다. 그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현대적 관심사에도 호소한다. 그는 근대 세계와 그 권위 구조가 형성되던 시기에 글을 썼다. 그가 글을 썼을 당시의 언어로 당시의 사상과 신념을 표현한 것이다. 이런 사상과 신념, 어휘 등은 그가 살았던 사회의 권력 구조에 의해 여러 방식으로 형성되었다. 그래서 우리는 그의 작품들이 당시의 사상과 신념에 대해 무엇을 얘기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흥미롭다. 셰익스피어는 20세기 후반에 들어서고 영국에서 기성 체제를 대변하는 인물로 떠올랐다. 1988년 이래 학교의 교과목에서 필수 과목이 되었다. 그리고 국비를 지원받아 셰익스피어의 희곡만 공연하는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가 설립되었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가난한 도시 지역에서도 그의 희곡이 공연되면 극장은 언제나 만원이었다. 그 정도로 관심이 대단했다.
관객을 위해 글을 쓰다
셰익스피어는 극장에 오는 관객들을 위해 글을 썼다. 그는 대사를 쓸 때, 배우들이 내뱉는 대사를 관객들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배려하면서 글을 썼다. 그는 실제 자신이 알고 있는 배우를 머릿속에 떠올리며 대사를 썼을 것이다. 그리고 그 배우들은 소란스럽고 사람들로 붐비는 야외극장에서 크게 말해야 했다. 실제로 무대 위에서 말하는 언어는 정형화되어 있다. 뚜렷한 리듬과 반복되는 언어, 특정한 문구와 표현 방식을 가지고 있다. 덕분에 청중은 귀로 듣는 대화의 전후관계를 무리 없이 파악한다. 셰익스피어 시대의 사람들은 길고 복잡한 문장을 잘 알아들었다. 1600년대 거의 대다수는 자신의 이름을 쓸 줄 몰랐다고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글을 읽을 줄 몰랐기 때문에 말을 알아듣는 능력이 더 발달되어 있었다. 현대인과 다른 점은 당시 사람들은 그림이나 시각적 기호들을 별로 보지 못했다. 인쇄하는 데 아주 많은 비용이 들어갔고, 그림의 수단으로는 목판화나 석판화뿐이었다. 오늘날까지 전해 오는 교회 내부의 벽에 그려져 있는 그림들을 제외하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아예 그림을 보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들로 그들은 현대인보다 말을 잘 알아들었다. 복잡한 언어라도 한 번 들으면 이해할 수 있었다.
최초의 극장
1576년 제임스 버비지는 쇼어디치에 최초의 극장 더 시어터(The Theatre)를 건립했다. 버비지의 경쟁자 필립 헨슬로는 1587년 더 로즈(The Rose)라는 극장을 열었다. 1595년에는 인근에 두 극장이 더 세워졌다. 극장이 없던 초창기 극단들을 갤러리가 있는 여관 안뜰에서 공연을 했다. 임시 기둥을 세우고 그 뒤에 커튼 달린 박스를 만들어 무대 뒷면 지역으로 활용했다. 관객들은 기둥 주위에 서서 보거나 갤러리에 앉아서 봤다. 런던에 전염병이 돌아 극단이 지방 공연을 나갈 때에도 이런 구조의 임시 극장을 세웠다. 하지만 이 부근을 지나가는 사람들은 다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입장료 징수가 어려웠다. 연극은 환한 대낮에 공연되었다. 그래서 관객들과 배우들은 서로의 얼굴을 볼 수 있었다. 관객의 반응은 연극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1608년 최초의 연극 전용 실내 극장이 개관했다. 촛불을 켜 놓고 연중 내내 문을 여는 블랙프라이어스 극장(The Blackfriars)이었다. 셰익스피어는 이 극장의 주주 중 한 사람이었다. 직사각형의 구조를 가진 블랙프라이어스는 좀 더 많은 귀족 관객들을 겨냥했다.
셰익스피어의 연극
셰익스피어는 무대에 대하여 세 가지 점을 언급한다. 첫째, 그의 연극은 관객과 배우가 함께 만들어 간다. 그것은 교묘하게 현실을 재현하여 관객의 찬탄을 받는 것으로 그치지 않는다. 둘째, 불신의 정지는 불필요하다. 그 누구도 현실이 아닌 대체 현실을 본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이런 게임은 관객에게 연극에 참여하는 차원에서 작용하는 깊은 통찰을 안겨 준다.
그 당시의 관객들에게 기대되는 반응은 오늘날의 표준적 반응과는 많이 다르다. 오늘날의 문화는 주연급 배우들을 중심으로 구축된다. 우리는 그 배우들과 동일시하면서 그들의 개인적인 문제들에 동참하도록 요구된다. 하지만 셰익스피어의 연극은 등장인물의 특징이나 개인적 문제를 바라보지 않는다. 좀 더 폭넓은 문제들을 겨냥하면서 시작된다. 여러 계급의 사람들이 뒤섞인 관객 앞에서, 전반적인 사회와 그 사회 속 개인들의 문제를 동시에 보여 주려 한다. 이 때문에 하나의 극에 왕과 하인, 전사와 농담꾼, 귀족 부인과 창녀 등이 동시에 등장한다. 그리고 그들의 삶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바로 이런 이유와 방식으로 무대 위의 사건들은 정서와 웃음을 유발한다. 단 하나의 관점이라는 건 없다. 단 한 명의 주도적인 등장인물의 관점으로 극 전체의 행동을 관람할 필요도 없다. 우리는 다양한 목소리와 관점들을 보고 그중에서 판단을 내리면 된다.
2023.01.13 - [영문학] - 셰익스피어와 코미디
'영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셰익스피어와 코미디 (0) | 2023.01.13 |
---|---|
로렌스의 생애와 그의 작품 (0) | 2023.01.13 |
윌리엄 블레이크의 새로운 패러다임 (0) | 2023.01.11 |
무의식의 세계로 들어가는 노수부의 노래 (0) | 2023.01.10 |
소설 프랑켄슈타인의 탄생 (0) | 2023.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