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문학

윌리엄 워즈워스가 바라보는 자연의 중요성

by Amy_kim 2023. 1. 4.
반응형

자연을 하나의 생명체로 바라본 시인이 있다. 워즈워스가 노래한 시에 담긴 자연의 모습을 바라본다. 그가 말하고자 하는 자연과 인간의 연계란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그리고 그 속에서 우리는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

자연을 노래하는 시인

워즈워스는 자연에 대해 노래한 시인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그의 시는 단지 자연의 아름다움만을 노래하는 데서 끝나지는 않는다. 워즈워스는 자연을 기계론적으로 보거나 효용의 측면에서 본 것은 아니다. 기계론적인 사고방식에 따르면, 자연은 그저 하나의 기계로 거기에 생명이 있거나 인간과 어떤 유대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인간은 자연을 필요에 의해 개발하고 이용한다. 캐롤라인 스퍼전은 "그에게 즐거움과 평화를 준 것은 자연의 아름다움 속에 있는 생명력이었다."라고 했다. 자연 속에 있는 생명력을 본 것은 워즈워스의 신비주의 철학에 그 근거가 있다. 그는 무생물을 통해서도 자연의 생명력을 느낄 수 있다고 말한다.

 

워즈워스는 스스로 자연의 시인(Poet of Nature)이라고 생각했다. 이 생각은 빅토리아 여왕 시대까지 이어져, 이 시대의 독자들도 그를 자연의 시인이라고 생각한다. 그가 본인을 자연의 시인이라고 칭한 것 말고도 다른 이유가 있다. 그것은 워즈워스가 1760년경부터 영국에서 시작한 산업혁명의 초창기를 살았다는 것이다. 우리는 산업 혁명과 시간적으로 거리감을 가질 수 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지고 있다. 기계 문명의 발전으로 우리는 편리함을 얻었으나, 동시에 기계 문명이 가져온 인간의 비인간화와 소외라는 형상도 초래했다. 환경오염과 천연자원의 고갈 역시 워즈워스는 자신의 작품에서 예견한 바 있다. 산업 발전에 따른 부작용은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생태적 상상력을 높이 사야 하는 이유가 된다. 

워즈워스가 생각하는 자연은 살아 숨쉬는 생명체이다.

자연 속에도 영혼이 있다

워즈워스에게 가장 중심이 되는 생각은 자연은 살아 있는 생명체라는 것이다. 우리가 통상적으로 무생물이라고 생각하는 돌과 바위 같은 것도 생명체라고 여겼다. 지구라는 생명체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니 말이다. 그리고 자연을 성장하고 유기적인 생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의 이러한 생각은 <서시>(1805)에 나오는 아기의 묘사에서 아주 잘 드러나고 있다. 워즈워스가 자연에 대해 가지고 있던 근본적인 생각이 있다. 자연은 살아서 움직이며 숨 쉬고 있다는 것, 이러한 자연 속에 세상을 살아 움직이게 하는 영혼이 있다는 것이다. 워즈워스의 시에서는 자연의 숨결과 맥박이 인간 생명의 원천이 된다. 자연과 인간은 하나의 생명줄로 연결된 셈이다. 자연과 인간이 따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연계되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연과 인간이 하나의 생명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는 사람이 자연의 생명력의 일부임을 뜻한다. 인간이 자연에 우선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연과 인간을 잇는 생명력을 훼손하는 것은 전지구적인 생명력에 위해를 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죄를 짓는 것을 의미한다. 워즈워스는 서시에서 이러한 생명력을 "도덕적 생명력(a moral lie)"이라고 부른다. 워즈워스는 생물뿐 아니라 무생물도 감정이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무생물에게도 도덕적 생명력을 부여했다는 것은 그를 다른 시인들과 근본적으로 구별 짓게 하는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워즈워스는 그의 시에서 공해나 자연훼손 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지는 않았다. 하지만 자연 속에서 숨 쉬는 영이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우리에게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갖게 한다. 더불어 자연 또한 인간과 동등하거나 인간보다 우위에 있음을 시사한다. 자연의 무분별한 훼손은 우리가 자연을 단지 유용성이나 기계론적으로만 보기 때문에 초래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자연을 인간과 똑같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워즈워스의 시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인간과 자연은 서로에게 효용성의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도덕적으로도 긴밀히 연계돼 있다는 것과 말이다. 워즈워스가 자연에 대해 가진 생태적 상상력에서 현대의 자연 훼손이 가져올 재앙을 미리 보고 이를 막아야 한다. 자연의 엄청난 복수를 막는 지혜를 배우고, 우리가 자연에게 입히는 폐해는 곧바로 우리 자신에게 되돌아온다는 것을 명심해야겠다. 지구 위에 존재하는 생물과 무생물 모두 우리 인간과 서로 긴밀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